2년 전 여름의 초입이었습니다. 최종 합격 전화를 받고 엉엉 울었던 기억이 납니다. 다음날 신문 1면에 실린 이름 세 글자를 본 그 순간을 저는 영영 잊지 못할 거 같아요. 어느덧 햇수로 3년차 기자가 됐습니다. 그때의 감동은 쏟아지는 업무에 희석되고, 그때의 벅참은 몰아치는 스트레스에 빛 바래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저는 여전히 기자라는 직업을 좋아합니다. ‘우당탕탕 경향생활’을 써야 한다는 요청을 받고 제가 이 글을 써도 될까 수차례 고민했습니다. 제 글은 정답이 아닙니다. 제 생활은 더더욱 정답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언젠가 현장에서 마주할 지원자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저는 정치부 정당팀에서 일합니다. 정당팀은 야당팀과 여당팀으로 나뉩니다. 포털 사이트에 ‘말진’을 검색해보니 “국회와 같은 출입처에 출입하는 기자들 가운데 해당 언론사에서 가장 연차가 낮은 사람”이라고 나오더군요. 그게 접니다. 저는 팀에서도 부서에서도 막내인 ‘말진 중 말진’입니다.
말진의 하루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회 소통관 기자실로 출근합니다. 조간 신문을 읽습니다. 전날 같은 현장을 보고 들은 기자가 다른 관점에서 쓴 기사가 가장 재밌습니다. 출입하는 정당의 그날 일정을 올립니다.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 스크립트를 정리합니다. 아침은 빠르게 흐릅니다. 어느덧 정당별 아침회의에 들어갈 시간입니다.
소통관에서 본청으로 향합니다. “아 맞다 명함!” “아 맞다 이어폰!”을 외치는 순간이 제법 줄었습니다. 눈치껏 노트북 파우치에 노트북과 마우스, 마우스 패드, 이어폰을 욱여넣고 바지 주머니에 명함과 출입증을 넣습니다. 아침회의에서는 당대표와 원내대표의 모두발언을 중심으로 받아치기를 합니다. 회의가 끝나면 복도로 나가 백브리핑을 기다립니다. 기사에서 대개 “000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라고 쓰이는 그 브리핑이지요.
정치인들의 말을 듣고 받아 치는 게 저의 일상이지만, 중요 회의나 기자회견을 앞두고는 여전히 처음처럼 긴장됩니다. 속보로 나가야 하는데 잘못 받아칠까, 오탈자가 많이 나오지 않을까, 키워드를 못 알아들어 엉뚱한 말을 적는 건 아닐까 전전긍긍합니다. 상임위별로 이슈가 돌아갑니다. 언제 어떤 상임위를 맡을지 모르니 주요 쟁점은 평소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새로운 팩트가 발굴되거나 특이 발언이 나오면 속보로 처리합니다.
정치부에선 ‘말의 무게’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합니다. 그들의 말 한 마디에 수백억원의 예산이 오가고, 그날의 발제가 모두 뒤집히고, 때론 역사의 물줄기가 바뀌기도 합니다. 국회의원 개개인은 모두 입법기관이라는 말을 실감합니다. 그들의 말을 전하는 저 역시 말의 무게만큼이나 무거운, 어쩌면 그보다 무거운 무게를 짊어집니다. 말의 홍수 속에서 의미있는 말을 고르고, 알맞은 해석을 붙여 전달해야 합니다. 국회의원이 그들의 말의 무게를 생각하고 말을 하는지 감시해야 합니다.
입사 1주년에 남긴 글을 봤습니다.“내가 쓴 글이, 내가 택한 단어가, 내가 채운 빈 칸이, 내가 던진 질문이, 내가 가진 시각이, 그 누구에게도 상처가 되지 않기를 기도한 1년이었다. 앞으로도 그 기도는 계속될 것 같다. 오래도록, 아주 오래도록”
2주년을 넘긴 지금도 저는 여전히 같은 생각을 합니다.